영국 드라마 #블랙미러 에는 기억을 저장하고 언제든지 돌려볼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합니다. 자신의 의식을 복사해 개인 비서처럼 사용하기도 합니다. 며칠 전 우리는 이런 이야기가 조금씩 현실로 다가오고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뇌 연구 스타트업 #뉴럴링크 (Neuralink) 덕분입니다.
8월 28일, 뉴럴링크는 유튜브 생중계로 한 돼지를 선보였습니다. ‘거트루드’라는 이름의 이 돼지는 지난 2개월간 뇌에 ‘링크 0.9’라는 칩을 이식받은 채 생활했는데요. 거트루드가 먹이 냄새를 맡자 이 칩을 통해 뇌 신호가 컴퓨터에 전송되는 모습이 중계됐습니다. 머스크는 왜 이런 실험을 하는 건지, 만테카와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 뉴럴링크란?
2016년 머스크가 설립한 뇌-컴퓨터 연결(BCI) 기술 개발 스타트업입니다. 초미세 전극 칩을 통해 인간의 뇌 신경이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게 하는 ‘뇌 임플란트’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미 쥐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 링크 0.9는 어떻게 작동할까?
링크 0.9는 두개골에 삽입하는 뉴럴링크의 신형 기기입니다. 23mmx8mm 크기의 칩 속에는 1,024개의 가느다란 전극이 있습니다. 이 전극이 뇌파 신호를 수집해 디지털 신호로 압축하고, 초당 10메가비트의 속도로 컴퓨터에 무선 전송합니다. 충전도 무선으로 이루어집니다.
머스크는 임플란트 로봇 시제품 ‘V2’도 함께 선보였는데요, 전신 마취 없이 혈관과 뉴런을 피해 1,000개 이상의 전극을 1시간 이내에 이식 할 수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 일론 머스크의 빅픽쳐, AI-인간
뉴럴링크의 첫 목적은 의학적 도움입니다. 칩 이식으로 마비나 퇴행성 질환 환자들이 인공 신체 기관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시각과 청각 회복에 기여하며, 정신질환도 치료할 수 있을 거라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머스크의 설계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생각을 자유롭게 컴퓨터에 업·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기억을 컴퓨터에 저장하고, 지식을 불러오고, 로봇에 자신의 의식을 심는 것도 가능할 겁니다. 더나아가 타자를 치거나 말할 필요 없이 뇌파만으로 소통을 할 수도 있을 겁니다. 마치 텔레파시처럼요.
이를 포함하는 뉴럴링크의 장기적 목적은 ‘인간의 두뇌와 AI의 연결’입니다. 뇌가 직접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제어하며, 음성과 타자를 거치지 않고 AI 칩을 통해 정보를 뇌로 바로 받아들인다는 것입니다. 머스크는 이로써 ‘디지털 초지능(digital intelligence)’을 인간에게 부여하고,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생을 가능케 하는 완전한 뇌-기계 인터페이스(BMI)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전부터 머스크는 AI가 인류의 파멸을 가져올 것이라는 경고를 여러 차례 했는데요. 뉴럴링크를 통해 그는 ‘AI를 피할 수 없다면 AI에 압도되지 않는 지능을 인간에게 부여하겠다’는 야심찬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직 갈 길은 멉니다. 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하기까지는 수많은 안정성 논란, 윤리적 문제, 그리고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입니다.
사진 출처: Neuralink 유튜브 캡처
[ad_2]
Source
Bir cevap yazın